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37

Site)유틸) 오디오 포맷변환 사이트 오디오 포맷변환 사이트 URL : https://online-audio-converter.com/ko/ 온라인 오디오 변환기 - 오디오 파일을 MP3, WAV, MP4, M4A, OGG 또는 iPhone 벨소리로 변환 이 앱이 Google 드라이브와 함께 작동하도록 승인하세요. OK online-audio-converter.com 회원가입 유/무 포맷을 변환해서 다운이 가능한 오디오 변환 사이트이다. ★★☆☆☆ 2019. 10. 17.
잡학지식) 목표 및 핵심 결과지표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 목표 및 핵심 결과지표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 조직적인 차원에서 달성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 결과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보고 흐름 및 추적이 가능한 목표 설정 프레임 워크다. OKR을 설정을하고 추적을하면 목표 설정에 걸리는 시간을 매우 단축 시킬수 있다. OKR은 1970년대 '앤디 그로브(Andry Grove)'가 처음 고안했고 '존 도어(John Doerr)'가 실제 적용해서 널리 적용시켰다. OKR은 구글의 핵심 목표설정 프레임워크가 되었고, 링크드인, 트위터, 드롭박스, 우버 등등 많은 회사들이 적용한 사례로 알고 있다. OKR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 목표를 세운다. 두번째 주요 결과를 생각한다. 세번째 목표와 성과의 결과를 측정이 가능한 지표 획득한.. 2019. 10. 16.
디자인패턴) Command 패턴 Command 패턴 커맨드 패턴이란 실행 가능한 기능을 캡슐화해서 여러가지 기능을 재사용가능한 클래스로 설계하는데 목적을 둔 디자인패턴이다. 실행 가능한 기능을 캡슐화해서 기능읠 실행을 요구하는 호출자 클래스와 수신자 클래스의 의존성을 재거한다. 예시로 Unit 이라는 클래스의 이동을 구현하고자한다. 이동에는 점프(Jump)와 달리기(Run)의 기능이 포함되어있다. 커맨드 패턴으로 구현을 하게되면 단순하게는 이렇게 가능하다. MoveCommand의 추상클래스를 Jump 클래스/ Run 클래스가 상속받고 Action이라는 클래스를 통해서 처리한다. 이렇게 구현을 하게되면 Move의 기능의 구현부의 변경 or 추가된 기능이 독립적으로 처리가되기 때문에 재사용성과 독립성이 확보가된다. 가장 기본이되는 디자인패.. 2019. 10. 16.
층간소음) 층간소음 대응법 층간소음 대응법 많은 분들이 층간소음으로 맘고생을 한다. 본인도 층간소음 때문에 경찰도 부르고 층간소음이웃사이센터, 관리사무소, 측정 뭐 여러 가지를 해봤다. 우퍼스피커도 해보고 고무망치도해보고.. 복수도 많이 찾아보고 했지만. 결론은 서로 조용하게 완만?(경찰도 4번정도 출동) 이후에도 정신적이나 윗집에서는 그다지 행동이 바뀌진 않았다. 그래서 세를 주고 이사를 한 케이스이다. 그래도 이런 나쁜 이웃과의 상황은 주위에서도 같은 패턴을 보였다. 상황은 다음과 같았다. 0. 메모 및 관리실을 통한 정중한 요청 ( 1~ 3회) 1. 참다참다 소음이 날 때 관리실에 요청 2. 내려와서 막말을 함. ( 연락 오니 스트레스라는 이유, 우리 집이 아니다. ) 3. 예민한거 아니냐? 4. 우리는 그.. 2019. 10. 16.
잡학지식) 카니발 효과 (자기 잠식효과 : Cannibalization) 카니발 효과 (자기 잠식 효과 Cannibalization)자기잠식효과(영어: Cannibalization)는 식인 풍습을 뜻하는 "Cannibal"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한 마케팅 용어이다.  식인종이 자신의 종족을 잡아 먹는것에 의거해서 한 기업에서 새롭게 출시한 제품이나 기술이 기존에 그 기업에서 판매하고 있던 다른 제품이나 기술의 영역까지 침범하여 결과적으로 해당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게임산업에서도 이런 카니발 효과를 고려해서 마케팅 및 오픈 시기를 조절하는 경우는 흔하다.대형 개발사 같은경우 여러 계열사가 있는 경우가 많다. 같은 장르의 게임이 한 번에 출시하면 유저들이 분산되기 때문에 오픈 시기를 조절해서 일정 기간의 텀을 두고 진행한다.   또 다른 이벤트로 기.. 2019. 10. 15.
게임리뷰) 엑스컴(X-COM)시리즈 엑스컴(X-COM) 시리즈 https://youtu.be/kJLFNYhq1YM YouTube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현재 사용 중이신 네트워크에서 많은 요청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YouTube를 계속 사용하려면 아래 양식을 작성하세요. www.youtube.com 게임 이름 : 엑스컴(X-COM) 시리즈 개발사 : 2 K 게임즈 장르 : 턴, 전략 시뮬레이션 등급 : - 엑스컴은 시리즈가 굉장히 많다. 그많큼 많은 개발이 되었고 리부트 시리즈도 많다. X-Com: UFO Defense X-Com : Terror From the Deep X-Com : Apocalypse X-Com : Interceptor X-Com : Enforcer X-Com : Enemy Unknown X-Com 2 엑스컴 1.. 2019. 10. 15.
게임리뷰) 피스, 데스!(Peace, Death) 피스, 데스(Peace, Death) https://youtu.be/OyGfzHAEk3g 게임 이름 : 미스트 오버(Mistover) 개발사 : AZAMATIKA 장르 : 캐주얼 인디 시뮬레이션 등급 : - 주인공 리퍼(사신)은 집에서 쇼파에 앉아서 TV를 보다가 배고픔에 고기가 먹고 싶어서 냉장고를 열어본다. 그러나 텅텅빈 냉장고, 리퍼는 리퍼는 돈을 벌어야겠다고 생각해서 고민하다가 문득 좋은 아이디어가 생각나서 전화를 건다. 그렇게 '세상 종말 주식회사' 의 인턴으로 취직하게 되어서 죽은 영혼들을 지옥과 천국으로 인도하는 일을 하게 된다. 게임플레이 방식은 하루에 처리해야하는 업무량 많금의 영혼을 인도하면 끝나고 그 결과로 등급을 받는 시스템으로 되어있고, 천국과 지옥으로 인도를 하면된다.(방향키 조.. 2019. 10. 14.
게임개발) 레거시 코드(Legacy Code) 레거시코드(Legacy Code) 개발자라면 누구나 필연적으로 다른 사람의 코드를 접하게 된다. 1인 개발자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협업을 하게 된다. 협업을 하는 과정에서 종종 난감한 상황이 벌어진다. 이는 흔히 전문 용어로 '똥 싸놨다.'라고 표현한다. 코드의 가독성이 떨어지거나, 코드의 규약이 없는 경우, 코드의 결합도가 높은 경우, 시간이 없어서 땜빵 코드를 작성한 경우, 이런 여러 가지 원인들로 인해서 화석처럼 굳어진 코드를 흔히 '레거시 코드'라고 표현한다. 레거시 코드는 마이클 패더스의 Working Effectively with legacy code라는 글에 이렇게 정의되어있다. "The main thing that distinguishes legacy code from non-lega.. 2019. 10. 14.
게임개발) 사이드 이펙트 (Side Effect) 사이드 이펙트 (Side Effect) 사이드 이펙트란 사전적의미로는 '원래의 목적과 다르게 다른 효과 또는 부작용' 이라는 상태를 말하는 표현이다. 개발 과정에서도 사이드 이펙트라는 표현을 굉장히 많이 사용한다. 이는 작업 코드가 눈에 보이지 않고 논리적으로 예측을 해야하는 과정에서 많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사이드 이펙트는 개발 영역에서는 버그(Bug)로 치부되기도 한다. 구현하고자하는 형태의 기능이 동작이 되지 않고 어떠한 다른 요인으로 인해서 동작을 못하거나 값이 다른 여러가지 상황을 통상적으로 사이드 이펙트라고 표현한다. 사이드 이펙트를 줄이기 위해서는 예측이 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독립성, 약한 의존성, 명시적, 접근제한자, 기능의 분리 등등 으로 사이드 이펙트를 줄이면 안정성을 .. 2019. 10. 14.
Tip) '이 앱은 사용자보호를 위해 차단되었습니다'. Window 10 윈도우 10에서 '이 앱은 사용자 보호를 위해 차단되었습니다.' 라는 메시지로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가 생기게 되는 경우!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윈도우에서 검색으로 'Windows PowerShell 을 검색하거나 단축키 : (윈도우 +X ) 를 눌르고 A 버튼으로- 쉘을 띄운다. 이런 창 이 뜨는데 이 창에서 ' secpol.msc ' 를 입력합니다. 입력하면 이렇게 '로컬 보안 정책'이라는 창이 뜬다. 보안옵션 - 사용자 계정 컨트롤 관리 승인 모드에서 모든 관리자 실행 - 속성에 들어가서 '사용안함으로 변경하면 된다, 다시 service.msc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서비스 창이 뜬다. 윈도우 10에서는 관리자 계정에 대한 설정이 조금더 강화되서 번거로운것 같다. 2019. 10. 14.
잡학지식) 페이 투 윈 (Pay To Win) - P2W 페이 투 윈 (Pay To Win) - P2W 부분 유료화 게임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과금을 하면 이긴다'라는 표현으로 과금을 많이 하면 이 길 가능성이 높다는 것으로 쓰는 용어이다. 예전에 한창 유행했던 '정액'이라는 시스템의 (정기 이용료)의 개념에서 부분 유료화(게임 플레이는 무료)로 넘어오면서 생긴 용어이다. Pay to Win 시스템은 다양하다. 대표적인 유형은 다음과 같다. 과금을하면 좋은 아이템을 뽑을 수 있는 경우( 가차 시스템 ) 과금을 일정 수준 하면 확정적으로 좋은 아이템을 주는 경우 ( 확정 아이템 ) 과금을 하면 더 많은 해택을 주는 경우( VIP 시스템 ) 과금을 하면 제약이 좀더 약해지는 경우 ( 피로도 시스템 or 리니지의 아인하사드 시스템) 과금을 하면 강화 확률이.. 2019. 10. 14.
영화리뷰 ) 아이덴티티(Identity 2003) 아이덴티티(Identity 2003) URL : https://youtu.be/0cNlqa9MzSk 영화 : 아이덴티티(Identity) 국가 : 미국 제작 : 콜럼비아 픽처스 등급 : 15세 이상 관람가 출연 : 존 쿠삭, 레이 리오타, 아만다 피트 등 한 남자(말콤)의 회고로부터 영화가 시작된다. 폭풍우가 오는 어느 어둑한 날 각자의 사정에 의해서 10명이 어느 한 모텔에 숙박하게 된다. 네바다주에 모텔에는 여배우, 운전사, 교도관과 호송 중인 살인범, 매춘부, 신혼부부와 아들, 앨리스, 3인 가족(조지, 앨리스, 티모시) 등등 다 다른 직업과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다. 갑자기 하나둘씩 살해를 당하기 시작한다. 연쇄살인으로 공포에 빠진 사람들은 서로를 의심하면서 살인자를 찾기 시작한다. 한 번씩 살해될.. 2019. 10. 13.
게임 리뷰) 미스트 오버(Mistover) 미스트 오버 https://youtu.be/Nd9k8AohTKc 게임 이름 : 미스트 오버(Mistover) 개발사 : 크레프톤 장르 : 롤플레잉, 로그라이크, 턴 등급 : 12세 이용가 인류의 생존을 위한 탐험, 어느 날 절망의 기둥이 생겨나고 거기에서 나오는 미지의 존재 '환수', 환수들은 인류를 무차별 공격하기 시작했다. 인류는 환수의 공격에 무력할 수밖에 없었는데. 그렇게 모든 인류가 멸망하기 직전. 기적적으로 환수들이 한순간 사라졌고, 인류는 환수들이 다시 나타나기 전에 출현에 대비하기 위해 마지막 인류의 생존을 건 탐험이 시작된다. 조사대가 탐험하는 '절망의 기둥'안은 수많은 차원이 합쳐진 이질적인 공간이 눈앞에 펼쳐졌다. 다키스트 던전과 비슷한 국산형 게임으로 테라, 배틀그라운드로 유명한 개.. 2019. 10. 13.
디자인패턴) MVVM 패턴 MVVM 패턴 (Model- View - View Model) MVC 패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패턴으로 특징은 Command 패턴과 Data Binding 패턴을 사용해서 구현을 해서 View 와 View Model 사이의 의존성을 없애는 것이다. View Model 과 View 는 1 : N 의 관계를 유지한다. View를 통해서 입력(Input) 이 들어온다. 입력이 들어오면 Command 패턴을 통해 ViewModel에 명령을 전송하고 Data Binding 으로 인해서 ViewModel 의 값이 변화하면서 View의 정보가 변경되는 원리가 된다. View에 입력이 들어오면 Command 패턴으로 ViewModel에 명령을 합니다. ViewModel은 필요한 데이터를 Model에 요청.. 2019. 10. 13.
게임개발) 스파게티 코드 스파게티 코드 스파게티 코드라는 표현은 일종의 관계가 얽히고 섥힌 코드들을 UML으로 작성했을때 관계나 참조 및 기능의 결합이 스파게티 면과 비슷한 형태를 취하는 것을 표현한 용어로 한개의 클래스가 여러가지의 기능을 하게되면서 여러가지 참조 및 관계가 붙은 경우가 대체적이다. 스파게티 코드라고 표현하는 기준은 사람마드 틀린데. 규정짓기는 힘들지만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읽기 어려운 난해한 코드 프로그램의 논리, 흐름이 복잡하게 꼬여 있는 소스 코드 정상 기능 작동은 되지만 조금만 수정해도 많은 버그가 생기는 코드, 여러 함수/메소드들이 지나치게 서로서로를 의존하면서 얽혀있는 코드, 고전 스타일로 되어있는 길게 나열된 소스코드도 포함된다. 응집도와 결합도를 줄여야 한다. ★☆☆☆☆ 2019. 10.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