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 투 윈 (Pay To Win) - P2W
부분 유료화 게임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과금을 하면 이긴다'라는 표현으로 과금을 많이 하면 이 길 가능성이 높다는 것으로 쓰는 용어이다.
예전에 한창 유행했던 '정액'이라는 시스템의 (정기 이용료)의 개념에서 부분 유료화(게임 플레이는 무료)로 넘어오면서 생긴 용어이다.
반응형
Pay to Win 시스템은 다양하다. 대표적인 유형은 다음과 같다.
- 과금을하면 좋은 아이템을 뽑을 수 있는 경우( 가차 시스템 )
- 과금을 일정 수준 하면 확정적으로 좋은 아이템을 주는 경우 ( 확정 아이템 )
- 과금을 하면 더 많은 해택을 주는 경우( VIP 시스템 )
- 과금을 하면 제약이 좀더 약해지는 경우 ( 피로도 시스템 or 리니지의 아인하사드 시스템)
- 과금을 하면 강화 확률이 올라가는 경우 (아이템 파괴 방지, 확률 업 시스템)
- 과금을 하면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하는 것들을 획득 가능한 경우
- 과금을 하면 캐릭터가 더 쎄지는경우 ( 능력치 증가 시스템)
- 과금을 하면 즉시 획득가능( 시간제한이 있는 아이템을 즉시 획득)
등등이 존재한다. Pay To Win 시스템의 공통적인 공통점은 '과금을 하면 할수록 강해진다.'라는 것들이다.
Pay To Win 시스템은 설계를 적절하게 잘 해야한다.
과금을 한 유저의 입장에서는 과금을 했는데 효과가 미미하면 과금할 이유가 없어지고,
과금을 안 한 유저의 입장에서는 과금을 했는데 효과가 굉장하면 상대적인 박탈감으로 게임을 떠나게 된다.
★★☆☆☆
반응형
'지식 > 잡학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학지식) 목표 및 핵심 결과지표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 (0) | 2019.10.16 |
---|---|
잡학지식) 카니발 효과 (자기 잠식효과 : Cannibalization) (0) | 2019.10.15 |
잡학지식) Man of Month (MOM) (0) | 2019.10.11 |
잡학지식 )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성과지표 (0) | 2019.10.10 |
잡학지식) 마크다운(Mark Down) (0) | 2019.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