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식/잡학지식178

잡학지식) 출구전략(Exit Strategy) 출구전략(Exit Strategy) 출구 전략(出口戰略, 영어: exit strategy)은 대개 좋지 못한 상황에서 벗어나는 수단 및 방법을 일컫는다. 원래 임무를 완수한 군대의 퇴각 시나리오를 지칭하는 데서 유래했지만, 경제에서는 경제정책의 기조를 원상 복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가 침체되면 기준 금리를 인하하거나 재정지출을 확대해서 유동성 공급을 늘리는 조치를 취하게되는데, 경기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시중의 유동성이 과도하게 되면 물가가 상승하는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위험성이 커지기 때문에 이를 대비해서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서 취했던 '각종 경기 완화 정책'을 정상화하며 재정 건전성을 강화하는 것이다. 간단히 기존의 펼친 정책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경기회복의 역할을 할수 있도록 유동성을 회수하는 .. 2019. 10. 24.
잡학지식) 죄수의 딜레마 죄수의 딜레마 죄수의 딜레마(罪囚-, prisoner's dilemma, PD)는 게임 이론을 실생활에 적용한 유명한 사례로, 2명 이상이 참가하는 비제로섬 게임 (non zero-sum game)의 일종이다. 이 게임은 용의자의 딜레마 또는 수인의 번민(囚人의 煩悶)이라고도 부른다. 많은 사람들은 '죄수의 딜레마'로 알고 있다. 이 사례는 협력할 경우 서로에게 가장 이익이 되는 상황일 때 개인적인 욕심으로 서로에게 불리한 상황을 선택하는 문제를 보여주고 있다. ​ 죄수의 딜레마에 빠지는 전제는 다음과 같다. 서로 어떤 선택을 하는지 서로 알 수 없다. 다른 타인이 선택한 것을 거짓으로 말할 수도 있다. 결정에 시간을 준다. 절대 강요는 하지 않는다. 예시를 들면 범인으로 추정되는 두 명의 용의자가 있다.. 2019. 10. 24.
잡학지식) 무결성 무결성 무결성이란 저장된 데이터 값과 그것이 표현하는 현실 세계의 실제값이 일치하는 정확성을 의미한다. 무결성이 높다는 것은 데이터의 이상이 적다는 것이다. 무결성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주로 많이 쓰이는데 개념적으로는 데이터의 관계에서 표현하는 방식으로 무결성을 표현을 한다. 무결성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개체 무결성 참조 무결성 도메인 무결성 고유 무결성 NULL 무결성 키 무결성 개체 무결성 값을 구성하는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참고 무결성 참조하는 값과 동일한 값이어야 한다. 도메인 무결성 값의 속성(자료형 or 범위)는 속해있는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고유 무결성 특정 속성에 대한 고유값인 경우는 그 속성값은 모두 달라야한다. NULL 무결성 특정값에 NULL이 포함되지 않는경우 NULL.. 2019. 10. 21.
잡학지식) 레이스 컨디션 (Race Condition) 레이스 컨디션 (Race Condition) 일반적으로 레이스 컨디션 이란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공통 자원을 병행적으로(concurrently) 읽거나 쓸 때, 공용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어떤 순서에 따라 이루어졌는지에 따라 그 실행 결과가 달라지는 상황을 말한다. 레이스 컨디션이 발생하게 되면 모든 프로세스에 원하는 결과가 발생하는 것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상황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 중간에 값이 변경되는 것은 예측이 불가능하고 실제 이런 코드들이 문제를 발생하기도 한다. 예시로 보면 병행적으로 수행되는 두 프로세스 A와 B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데이터 value가 있고 10라는 값을 가지고 있다고 하자. value = 5 프로세스 A 프로세스 B ㄱ) value--; ㄴ) printf("%.. 2019. 10. 20.
잡학지식) 초두효과 초두효과 심리학에서 나온 현상으로서 처음 제시된 정보 또는 인상이 나중에 제시된 정보보다 기억에 더 큰 영향을 끼치는 현상을 말한다. 초두 현상이라고도 한다. 첫인상이라고 하는 것은 많은 상황에서 영향을 준다. 처음에 접하는 정보를 기준으로 이후에 많은 것들이 기본적으로 영향을 갖는 현상이다. 초두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우리의 뇌가 보고 듣는 정보를 본능적으로 일관성 있게 받아들이려 하기 때문이다. 처음에 입력된 정보가 긍정적인 것이면 나중에 입력된 정보도 일관성 있게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반대로 처음에 입력된 정보가 부정적인 것이면 나중에 입력된 정보도 부정적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처음에 들은 정보와 나중에 들은 정보가 반대되는 것이라도 뇌는 나중에 들은 정보를 기억을 잘 못하고 무시한다. 그래.. 2019. 10. 17.
잡학지식) 목표 및 핵심 결과지표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 목표 및 핵심 결과지표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 조직적인 차원에서 달성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 결과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보고 흐름 및 추적이 가능한 목표 설정 프레임 워크다. OKR을 설정을하고 추적을하면 목표 설정에 걸리는 시간을 매우 단축 시킬수 있다. OKR은 1970년대 '앤디 그로브(Andry Grove)'가 처음 고안했고 '존 도어(John Doerr)'가 실제 적용해서 널리 적용시켰다. OKR은 구글의 핵심 목표설정 프레임워크가 되었고, 링크드인, 트위터, 드롭박스, 우버 등등 많은 회사들이 적용한 사례로 알고 있다. OKR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 목표를 세운다. 두번째 주요 결과를 생각한다. 세번째 목표와 성과의 결과를 측정이 가능한 지표 획득한.. 2019. 10. 16.
잡학지식) 카니발 효과 (자기 잠식효과 : Cannibalization) 카니발 효과 (자기 잠식 효과 Cannibalization)자기잠식효과(영어: Cannibalization)는 식인 풍습을 뜻하는 "Cannibal"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한 마케팅 용어이다.  식인종이 자신의 종족을 잡아 먹는것에 의거해서 한 기업에서 새롭게 출시한 제품이나 기술이 기존에 그 기업에서 판매하고 있던 다른 제품이나 기술의 영역까지 침범하여 결과적으로 해당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게임산업에서도 이런 카니발 효과를 고려해서 마케팅 및 오픈 시기를 조절하는 경우는 흔하다.대형 개발사 같은경우 여러 계열사가 있는 경우가 많다. 같은 장르의 게임이 한 번에 출시하면 유저들이 분산되기 때문에 오픈 시기를 조절해서 일정 기간의 텀을 두고 진행한다.   또 다른 이벤트로 기.. 2019. 10. 15.
잡학지식) 페이 투 윈 (Pay To Win) - P2W 페이 투 윈 (Pay To Win) - P2W 부분 유료화 게임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과금을 하면 이긴다'라는 표현으로 과금을 많이 하면 이 길 가능성이 높다는 것으로 쓰는 용어이다. 예전에 한창 유행했던 '정액'이라는 시스템의 (정기 이용료)의 개념에서 부분 유료화(게임 플레이는 무료)로 넘어오면서 생긴 용어이다. Pay to Win 시스템은 다양하다. 대표적인 유형은 다음과 같다. 과금을하면 좋은 아이템을 뽑을 수 있는 경우( 가차 시스템 ) 과금을 일정 수준 하면 확정적으로 좋은 아이템을 주는 경우 ( 확정 아이템 ) 과금을 하면 더 많은 해택을 주는 경우( VIP 시스템 ) 과금을 하면 제약이 좀더 약해지는 경우 ( 피로도 시스템 or 리니지의 아인하사드 시스템) 과금을 하면 강화 확률이.. 2019. 10. 14.
잡학지식) Man of Month (MOM) Man of Month (MOM) Man-Month는 한 사람이 한 달간 하는 일의 규모를 토대로 어떠한 작업(프로젝트)에 투입할 인력과 일정을 계획할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 예시로 10명이 1년간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는 가정으로 보면 10명 x 12개월 = 120 M/M(Man-Month)120 M/M 규모의 프로젝트라고 말할 수 있다. 프로젝트에 투입한 사람을 좀 더 늘려서보면 120 M/M 프로젝트에 12명을 투입을 하면 120 M/M / 12명 = 10개월12개월에서 10개월로 2개월이 감소하게 된다. 이 수식에는 한가지 전제가 필요한데. 투입되는 인력의 수준이 동일하고 업무도 변하지 않는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실제 MOM를 프로젝트에 적용하면 문제가 많을것이다. 단일화된 수치로 단순히 모든것을 딱.. 2019. 10. 11.
잡학지식 )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성과지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 성과지표 KPI는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핵심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요소들에 대한 성과지표를 말한다. KPI는 미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여러 핵심 자료를 묶은 성과 평가의 기준이다. 기존에는 이익, 매출, 비용과 같이 과거 재무적인 지표를 기준으로 성과를 평가했지만, 재무 성과는 과거 활동의 성과라는 점에서 미래 성과를 예측하고 반영하는 데 미흡하고, 결과만 보여 줄 뿐 과정에 대한 정보도 없다. 성과 측정의 대상으로 과정이 중요한 이유는 과정을 관리함으로써 단기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장기적인 목표도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KPI를 도출하고, 활용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기업이 원하는 방향으로 구성원들이 가도록 동기를 부여.. 2019. 10. 10.
잡학지식) 마크다운(Mark Down) 마크다운(Mark Down) 일반 텍스트의 문서의 양식을 편집하는 문법이다. README 파일이나, 온라인 문서, 혹은 일반 텍스트 편집기로 문서 양식을 편집할 때 사용한다. 마크다운으로 작성된 문서는 HTML 등 다른 문서로 변환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확장자는 xx.md 의 형태를 가진다. 마크다운에서는 엔터키 한 번은 먹지 않는다. 문장이 같은 줄에 연이어 표시된다. 마크다운적용결과 첫째 문장. 둘째 문장. 셋째 문장. 첫째 문장. 둘째 문장. 셋째 문장. 줄바꿈은 빈 칸 두 개로 구분한다. 마크다운적용결과 첫째 문장. 둘째 문장. 셋째 문장. 첫째 문장. 둘째 문장. 셋째 문장. 문단과 문단 사이는 빈 줄(엔터키 두 번)로 구분한다. 하나의 문단. 다른 문단. 문단 제목은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 2019. 9. 26.
잡학지식) 브룩스의 법칙 브룩스의 법칙 브룩스의 법칙(Brooks' law)은 프레더릭 브룩스가 자신의 1975년 저서 (The Mythical Man-Month)에서 주장한 법칙으로. 지체되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인력을 추가를 한다고해서 무조건적으로 개발기간이 줄어들 거라는 생각을 하면 안 된다는 내용이다. 브룩스는 '임산부가 아무리 많아도, 아이를 낳는 데는 최소한 9개월이 걸린다' 라고 자신의 주장을 비유적으로 표현했는데. 결론적으로는 소프트웨어의 개발에는 최소한의 기간은 인력을 아무리 투입해도 줄어들 수 있는 여지가 없거나 투입할 경우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이야기한 것이다. 브룩스의 법칙에서 언급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서 전체를 소규모 그룹이 맡을 수 있는 조각으로 나누고, 상위 그룹이 통합을 맡고.. 2019. 7. 31.
잡학지식) 팀포텟이란? (Tit-for-Tats) 팀포텟이란? (Tit-for-Tats) 반복게임 상황에서 쓰이는 상호작용 전략 중 하나이다. 기본적으로는 협력 상태로 시작하며, 상대가 협력하면 자신도 협력하여 윈-윈 관계를 만들어내고, 상대가 배반하면 자신도 배반하여 상대가 더 이상 이득을 취하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상대가 다시 협력하면 흔쾌히 협력하고, 다시 배반하면 마찬가지로 보복하여 결과적으로는 윈-윈 상태를 유도한다. 말하자면 선행과 악행에 대한 피드백이 확실한, 정의로운 전략. 서로 다른 두 개체가 만나서 반복적 게임 상황이 발생했을 때 협력과 배반 중 어느 태도를 선택할지 결정해야 할 때 쓰이는 전략으로, 이하의 기본 전제가 성립하는 한, 지금까지 발견된 그 어떤 다른 전략도 팃포탯만큼 성공적이지 못했다고 한다. 실제 과정을 테스트할수있는.. 2019. 7.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