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식/잡학지식176 잡학지식) 콜드 이메일(Cold mail, Cold emailing) 콜드 이메일(Cold mail, Cold emailing) 무작위 대상에게 (알지못하는) 사람에게 보내는 홍보 메일으로 영업이나 해외의 취업과정에서도 사용가능하다. 일방적으로 정보전달하는 과정에서도 보내는 것도 포함한다. 콜드 이메일은 눈에 잘띄게 많은 노출전략을 사용하느데 작성하는 방식에는 다음의 항목이 포함되면 좋다. 눈에 띄는 제목 자신이 누군지에 대한 명확한 정보 상대방이 받을 시간대 이유와 이익에 대한 명확한 정보 상대방을 배려하는 표현 개인적으로도 콜드이메일이라는 명칭이 거창하지만 간단하게는 그 사람에게 SNS 상으로 친구추가를 하거나 모르는 사람에게 연락을 하는 과정도 콜드 이메일과 비슷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수단이 메일이 아니다 정도) 본인이 가고 싶은 회사가 있으면 콜드이메일을 보내보.. 2022. 7. 12. 잡학지식)비틱 (기만 행위) 비틱 (기만 행위) 비틱이라는 말은 네덕(네이버 덕후) 라는 말이 줄여비면서 (네 = 비)(덕= 틱)이 되면서 생긴 말로 간단하게 기만하는 행위을 말하는 표현이다. 흔히 '야민정음' 이라는 표현에서 온 말인데 지금은 비틱이라고 하면 단순하게 기만하는 행위를 표현한다고 생각하고 이해하면 된다. (요즘은 의미없는 표현도 그냥 하나의 문화가 되는걸 생각하고 받아들이면 된다.) ★☆☆☆☆ 2022. 6. 16. 잡학지식)자물쇠 효과(Lock-in Effect) 자물쇠 효과(Lock-in Effect) 기존의 제품 및 서비스보다 더 뛰어난 것이 나와도 이미 투자된 비용이나 기회비용 혹은 복잡하거나 어느정도 만족하는 과정에서 타 제품 및 서비스로 옮겨가지 못하고 잠기게 되는 현상이다. 하나의 자본시장에 잠식되면 다른 더 좋은 서비스가 있더라도 계속 사용하는 현상을 말한다. 우리도 실제 사용하던걸 계속 사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단순하게 앱부터 이전부터 사용한 제품 브랜드, 혹은 생각 장소 등이다. 자물쇠 효과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의지와 결단이 필요하다. ★☆☆☆☆ 2022. 6. 14. 잡학지식) 특수 기호 명칭 및 영어표현 특수 기호 명칭 및 영어표현 여러가지 특수 기호가 있는데 부르는 명칭을 헷갈려서 키보드를 기준으로 특수 기호를 부르는 명칭 을 정리하는 포스팅이다. ` backtick / backquote (키보드 1번 왼쪽) ! exclamation point (키보드 1번) @ at sign (키보드 2번) $ dollar sign (키보드 4번) % percent (키보드 5번) ^ caret / circumflex (키보드 6번) & and sign (키보드 7번) * asterisk (키보드 8번) ( open paren (키보드 9번) ) close parent (키보드 0번) _ underscore / under line (키보드 0번 왼쪽 첫번째) \ back space 백 스페이스 ? question m.. 2022. 6. 10. 잡학지식) 러닝 코스트(Running Cost) 러닝 코스트(Running Cost) 어떤 시스템이나 설비를 운용함에 있어 보수 점검이나 소모품등 여러가지 운용하는것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을 말하는 표현이다. 기업에서는 경영을 해서 유지해나가는 경비도 포함되고 건물에서는 노후가 되면서 필요한 설비나 수선비 등등을 말한다. 운영비용이라는 용어기 때문에 계속해서 발생할 수 있는 유지보수 비용도 포함된다. 사업 운영 비용으로는 대략 다음과 같다. 직업 급여 및 복리 후생 사무용품 재고 및 비용 마케팅 및 광고 유지보수 및 수리 보험 세금 및 라이선스 비용 생각보다 러닝 코스트가 굉장히 많이 나가기 때문에 사업을 운영할때는 여러가지가 고려되어야 한다. ★☆☆☆☆ 2022. 6. 10. 잡학지식) 51: 49 51: 49 어떠한 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너무 비슷해서 우열을 가릴수없을때 자신의 개인판단이 추가되거나 엄청 비등비등한 상황에서 결국 양자택일을 해야하는 경우에 51 : 49 라는 표현을 쓴다. 의사결정을 하는건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결정에는 신중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결정을 해야 그 다음이 진행되기 때문에 너무 느리면 안된다. ★☆☆☆☆ 2022. 5. 15. 잡학지식) 연봉 평균 보는 방법 (사이트 비교) 연봉 평균 보는 방법 (사이트 비교) 기업. 회사의 연봉을 보는 방법은 여러가지 사이트를 활용할수 있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몇가지를 정리하고자 한다. 사람인 : [링크] 사람인 연봉정보 엔씨소프트 연봉,평균연봉,최고연봉,최저연봉을 무료로 확인하세요.[출처:사람인 연봉정보] www.saramin.co.kr 잡코리아 : [링크] 잡코리아 - 대한민국 대표 취업플랫폼 대한민국 대표 취업플랫폼 잡코리아에서 실시간 채용정보, 맞춤채용추천, 연봉, 기업정보, 합자소 등 취업에 필요한 사이트 정보를 확인하세요. www.jobkorea.co.kr 잡플레닛 : [링크] NO.1 기업 정보 플랫폼 기업 전문 뉴스 컴퍼니타임스, 기업리뷰, 면접후기, 연봉, 채용, 기업 정보를 한 번에! www.jobplanet.co.kr.. 2022. 2. 24. 잡학지식) 글리치(Glitch) 글리치(Glitch) 스피드 런(Speed Run)이라는 게임을 클리어하는 걸 최단시간을 목표로 하는 유저들이 많이 이야기하는 용어로 간략하게 말하면 일종의 버그 같은 일시적인 오류로 인해 의도한 것과 다른 오동작을 하는 것을 말한다. 스피드 런을 하는 유저들은 글리치를 사용해서 좀더 빠른 클리어 타임을 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사용한다. 게임마다 다양한 글리치가 존재한다. 유튜버 오태박 -포켓몬스터 글리치를 이용한 클리어 : [링크] 유튜버 오태박 - 슈퍼마리오 글리치 : [링크] 많은 유명한 스피드런에는 글리치를 적극 활용해서 시간을 단축시킨다. ★☆☆☆☆ 2022. 2. 9. 잡학지식)낙수효과(Trickle-down effect) 낙수효과(Trickle-down effect) 낙수효과는 위에서 부터 밑으로 내려가는 많은 효과들을 말한다. 경제학에서는 정부에서 규제나 완화를 통해서 기업의 투자와 고용이 늘고 그로인해서 소비세가 증가하는 현상을 말하기도 한다. 간단하게 위에서 바뀐것이 아래에서도 어떤 영향을 미치는것을 말한다. ★☆☆☆☆ 2022. 2. 9. 잡학지식) 트롤리 딜레마(Trolley problem) 트롤리 딜레마(Trolley problem) 윤리학 사고 실험중 하나로 '다수를 위해 소수를 희생시킬수 있는가?' 에 대한 판단을하는 상황을 '트롤리 딜레마' 라고하는데 가장 간단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가장 유명한 예시로 밑에는 다수의 사람이 묶여있고 위에는 소수의 사람이 묶여있을때 기차가 오고있는 상황에서 기차의 철로를 바꿀수있는 상황이다. 이때 과연 다수를 위해서 소수를 희생하는게 맞는가에 대한 딜레마에 빠진다. 여러가지 예시들이 있는데 결국 택1을 하는 과정에서 딜레마가 빠진다. ★☆☆☆☆ 2022. 2. 6. 잡학지식) 스톡옵션(Stock Option) 스톡옵션(Stock Option) 주식을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연봉을 계약하는 과정에서 스톡옵션을 준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스톡옵션을 받는 과정은 주식회사에서 누군가에게 스톡옵션을 주기 위해서 주주총회를 열고 스톡옵션을 승인하고 난 이후에 부여 대상자와 스톡 옵션 부여 게약을 체결한다. 스톡옵션은 크게 신주발행형, 자기 주식교부형, 차 액정 산형 3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이때 내가 받은 스톡옵션이 어떤 종류이냐에 따라 행사가를 내냐 마냐가 달라진다. 대부분은 주주총회일로부터 2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해야 행사가 가능하다. 스톡옵션을 행사해서 얻는 소득은 '(시장가 - 행사가) * 주식수'로 계산된다. 세금은 금액이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고 한다. 스톡옵션을 선택함으로써 내 연봉의 .. 2022. 2. 6. 잡학지식) LTV(생애 가치), CLV(고객 생애 가치) LTV(생애 가치), CLV(고객 생애 가치) LTV(Life Time Value) LTV(생애 가치)는 앱에서 창출하는 기간 동안 한 명의 고객이 얼마큼의 수익을 창출하는지 또는 한 서비스가 사용하는 기간 동안 얼마큼의 수익을 창출하는지에 대한 예상을 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LTV(생애 가치)의 계산방식은 대략 다음과 같다. 실제 서비스마다 중요한 지표 및 개발과정이 다 다르기 때문에 LTV의 기준을 잡는 것도 중요하다. LTV = 이익 * 기간(라이프 타임) * 할인율(계수) LTV = (매출액 - 매출 원가 ) / 구매자수 LTV = (평균 구매 단가 * 구매 빈도 * 계속 구매 기간 LTV = 앱의 총 생애 수익 / 총유저의 수 CLV(Customer Lifetime Value) CLV(고객 생애.. 2021. 12. 24. 잡학지식)코딩 컨벤션(Coding Conventions) 코딩 컨벤션(Coding Conventions) 본인이 아닌 다른 사람들도 내가 작성한 코드를 보고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한 코드 표준이다. 코딩 컨벤션은 관리과 쉽고 읽기가 쉬운 일종의 코딩 스타일 규약이다. 코딩규칙은 콘텐츠에 집중할수 있도록 코드에 대한 일관적인 형태를 취합니다. 코드를 보게되면 바로 이해할 수 있고 쉽게 표현되어야 합니다. 코드 복사, 변경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됩니다. (Camel Case, Pascal Case) 등도 이에 포함됩니다. 한 줄에 한문장만 작성합니다. 텝으로 들여쓰기 합니다. 메서드 정의와 속성 정의 사이의 하나 이상의 빈 줄을 추가합니다. 코드의 개행은 끝이 아닌 별도의 행에 주석을 배치한다. 대문자로 주석 텍스트를 시작합니다. 마침표로 주석 텍스트.. 2021. 12. 13. 잡학지식) 평균 회귀(mean reversion) 평균 회귀(mean reversion) 평균 회귀는 횟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평균에 가까워지는 현상을 말한다. 우리가 흔히 확률이라고 하는 수치가 있는데 10%가 있다고 하면 첫 번째 시도해서 성공하면 100%라고 할 수 있을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1번이 아닌 여러 번의 횟수가 시도되면 될수록 10%에 수렴하게 되는 평균 값을 말한다. 평균 회귀하는 것도 여러 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다중회귀, 선형 회귀, 비선형 등 여러 가지 형태의 회귀 종류가 있다. ★☆☆☆☆ 2021. 11. 16. 잡학지식)비어 고글(Beer Goggle) 비어 고글(Beer Goggle) 비어 고글이라는 표현은 음주 상태에서 보았을 때 평소보다 이성이 매력적으로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비어(Beer) + 고글(Goggle)이 결합된 표현으로 실제 음주상황에서 호감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술을 마신 상태가 좀 더 매력적으로 판단을 했다. 평균 10%가 더 높게 평가를 한다라는 이야기이다. 실제 이 효과는 과학적으로 알코올성분이 쾌락과 흥분 매력을 판단하는 뇌의 부피질에 영향을 주어서 판단력이 흐려지는 것이라고 한다. 종종 면접과정을 술자리까지 이어가거나 그 과정에서 그 사람들 판단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한다. ★☆☆☆☆ 2021. 11. 12. 이전 1 ··· 3 4 5 6 7 8 9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