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게임) 개발관련

개발지식) 랜덤을 구현하는 방식 종류

by 테샤르 2024. 4. 12.

랜덤을 구현하는 방식 종류

랜덤을 구현하는 여러가지 방식이 존재하는데 단순하게 랜덤을구현도 가능하지만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랜덤을 구현해야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그런경우에 간략하게 참고하면 될것 같다.

 

반응형

 

< 낙차 확률 >

 낙차확률 : A 확률 실패시 B의 확률을 구하는 방식 (A만 독립/ B 부터는 종속시행)

 

낙차란 어떤 일련의 사건 중에서 특정 순서나 위치에서 다른 사건보다 뒤에 발생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이런 경우, 낙차에 대한 확률은 해당 사건들이 일어날 때마다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확률론에서 낙차 확률은 주어진 상황에서 특정 사건이 다른 사건보다 뒤에 일어날 확률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동전을 두 번 던지는 경우를 생각해 봅시다. 첫 번째 동전이 앞면이 나올 확률은 0.5이고, 두 번째 동전이 앞면이 나올 확률도 0.5입니다. 이때 두 번째 동전이 첫 번째 동전보다 뒤에 나올 확률은 얼마일까요?

두 동전의 결과는 서로 독립적이므로, 두 번째 동전이 뒤에 나올 확률은 0.5입니다. 따라서 두 번째 동전의 낙차 확률은 0.5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확률을 계산할 때는 해당 사건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와 각 경우의 확률을 고려하여 계산합니다.

 

< 구간 확률 >

 

구간확률 : 나올수있는 확률을 모두다 더한후 나온 랜덤값이 어느 구간에 위치하냐를 판단하는 방식 ex: 크리티컬 20 + 일반공격 100 = 130을 기준으로 => 독립 랜덤

 

"구간확률"이란 특정 구간에 속하는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의미합니다. 이는 확률론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며, 연속 확률 분포를 다룰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주사위를 던져서 나오는 눈의 수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주사위의 눈은 1부터 6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만약 "눈의 수가 4 이상인 경우"에 대한 확률을 구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는 구간확률로서, 구간 [4, 6]에 속하는 사건이 발생할 확률을 의미합니다.

구간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확률밀도함수(PDF)나 누적분포함수(CDF)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확률밀도함수는 연속 확률 분포에서 각 점에서의 확률 밀도를 나타내며, 누적분포함수는 해당 값보다 작거나 같은 값이 나올 확률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주사위의 눈이 균일한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면, 각 눈이 나올 확률은 1/6입니다. 따라서 눈의 수가 4 이상인 경우의 확률을 구하려면 4, 5, 6의 눈이 나올 확률을 모두 더하면 됩니다. 이는 (1/6) + (1/6) + (1/6) = 1/2로 계산됩니다.

구간확률은 특정 구간에 대한 사건이 발생할 확률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양한 분포나 상황에서 구간확률을 구하는 방법은 해당 분포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동시 사건 (Simultaneous Events) >

동시 사건 (Simultaneous Events): 묶음 확률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용어로, 두 개 이상의 사건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예를 들어, 주사위를 두 번 던져서 두 번 모두 짝수가 나오는 경우는 동시 사건입니다. 여기서 첫 번째 던진 주사위의 결과와 두 번째 던진 주사위의 결과가 모두 짝수인 경우를 말합니다.
동시 사건의 확률은 각 사건이 발생할 확률을 곱하여 계산됩니다. 즉, P(A and B) = P(A) * P(B)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연쇄 확률 (Chain Probability) >


연쇄 확률은 여러 개의 사건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를 다루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A, B, C 세 가지 사건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이때 A가 발생한 후에 B가 발생하고, 다시 B가 발생한 후에 C가 발생한다면 이는 연쇄적인 사건입니다.
연쇄 확률은 각 사건이 순차적으로 발생할 조건부 확률을 곱하여 계산됩니다. 즉, P(A and B and C) = P(A) * P(B|A) * P(C|A and B)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보정 확률 >

보정 확률 : 실패한 경우에 다음 시행때 지정된 값의 확률 가중치를 더해 성공확률을 올리는 방법 : 퀘스트 / 강화 같은 보정으로 결국은 성공을 만족시키는 과정

 

"보정 확률"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통계학이나 데이터 분석에서 사용되는 개념이 아닙니다. 따라서 명확한 정의나 설명이 없습니다. 하지만 "보정"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통계적 보정 (Statistical Adjustment): 이는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나 모델의 편향을 보정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표본 추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편향을 보정하거나,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고려하여 모델을 보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편향 보정 (Bias Correction): 모델이나 추정치의 편향을 보정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회귀 모델이나 예측 모델에서 사용되며, 모델의 예측이나 추정치가 편향되었다고 판단될 때 이를 보정하여 더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사용됩니다.

오류 보정 (Error Correction): 데이터 전송이나 저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지하고 이를 보정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통신에서 발생하는 비트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하는 과정이 이에 해당됩니다.

기타 맥락: 용어가 사용된 맥락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정 확률이라는 용어가 어떤 분야나 문맥에서 사용되었는지 추가 정보를 제공해 주시면 더 정확한 설명을 드릴 수 있습니다.

 

< 묶음 확률 >

묶음 확률 : 아이템 별로 얻을수있는 개수를 정해주고 획득 시점마다 소거해서 계산하는 방법 : 대표적인 종속 시행 확률 /가장 정확한 확률 -> 셔플 (가챠)

 

동시 발생 확률 (Joint Probability): 묶음 확률은 두 개 이상의 사건이 동시에 발생할 확률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전을 두 번 던졌을 때 두 번 모두 앞면이 나올 확률은 묶음 확률로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 그룹의 확률 (Probability of a Set of Data): 데이터 분석에서, 묶음 확률은 특정 데이터 그룹이 발생할 확률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어진 특성을 가진 고객 그룹이 특정 이벤트에 참여할 확률은 해당 그룹의 묶음 확률로 볼 수 있습니다.

조건부 확률 (Conditional Probability): 때로는 특정 조건 아래에서의 확률을 묶음 확률로 이해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질병을 가진 환자 그룹 중에서 특정 검사 결과가 양성일 확률은 조건부로 볼 수 있습니다.

복합 사건 확률 (Probability of a Compound Event): 여러 개의 사건이 조합되어 발생하는 확률도 묶음 확률로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사위를 두 번 던져서 두 번 모두 짝수가 나올 확률은 두 개의 사건이 동시에 발생하는 묶음 확률입니다.

 

 

랜덤을 구현하는 방법은 굉장히 여러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것을 추천한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