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킨스(Jenkins) Mac 설치하기
젠킨스는 DevOps(개발환경)을 구축하는 도구 중 한 개로
빌드 환경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많이 쓰이는 도구이다.
맥에서 젠킨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HomeBrew가 설치되어있어야 한다.
Homebrew
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or Linux).
brew.sh
터미널에 해당 내용을 붙여 넣기 하면 HomeBrew가 설치가 된다.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sh)"
그 이후에는 젠킨스를 설치해야 한다.
brew install jenkins
설치 가다 되면 brew services start jenkins를 하게 되면 성공됐다고 메시지가 뜬다.
brew services start jenkins
==> Successfully started `jenkins` (label: homebrew.mxcl.jenkins)
젠킨스를 시작하고 난 이후에는
웹 사이트에서 http://localhost:8080을 실행하며 젠킨스 웹 페이지가 나온다.
http://localhost:8080
관리자(Administrator)의 패스워드를 입력하라고 한다. 빨간색 경로의 위치에 들어가서 initialAdminPassword 파일에 있는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접속된다.
입력하면 실제 jenkins 가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인 설치를 진행하기 위해서 왼쪽 install suggested plugins를 선택한다.
1231
젠킨스에서 외부 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http://localhost:8080에서 접속 가능한 IP를 입력해줘야 한다.(같은 네트워크이어야 접속이 가능하다)
URL 설정 이후에는 젠킨스를 재시작해야 한다! 안 하면. 계속 페이지를 못 찾음.
1차적으로 local이 아닌 같은 네트워크 상의 PC라던지 핸드폰 등 여러 기기로 테스트해본 결과 정상적으로 잘 접근되고 로그인이 잘되는 것을 확인했다. 다음에는 저장소에서 가져오는 설정을 추가할 예정이다.
★★★★☆
'개발 > 게임) 개발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환경)젠킨스(Jenkins) Unity 셋팅하기 (4) | 2020.08.24 |
---|---|
개발환경)젠킨스(Jenkins) GitLab 연결하기 (0) | 2020.08.24 |
게임개발) 테스트 케이스(Test Case : TC) (2) | 2020.07.21 |
Tip) Power Code 적용법! (+자신감은 덤..?) (8) | 2020.07.02 |
개발)훌륭한 프로그래머 되는법(Becoming a Better Programmer) (11) | 2020.06.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