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 명령어 정리
vi 편집기에서 ESC를 를 통해서 여러 가지 상태로 변경하게 되는데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정리했다.
vi(Visual Editor) 편집기는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주로 쓰이는 오픈 소스 문서 편집기이다.
다음과 같다.
명령 모드(Command Mode)
esc
i | 현재 커서 위치에 삽입(입력모드) |
a | 현재 커서 바로 다음위치에 삽입(입력모드) |
x | 커서가 위치한 곳의 글자 1개 삭제 |
dw | 커서가 위치한 곳에서 부터 단어 삭제(커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다음 띄어쓰기전까지) |
dd | 커서가 위치한 곳의 한 줄 삭제 |
p | dd의 명령을 복구 |
u | 방금 한 명령 취소(실행취소 Ctrl + z 기능) |
0 | 커서가 줄의 맨 앞으로 이동 |
$ | 커서가 줄의 맨 끝으로 이동 |
G | 파일 끝으로 이동(대문자) |
cc | 커서가 있는 그 줄의 내용 변경 |
마지막 행 모드(Last Line Mode)
esc + 콜론(;) 으로 나오는 명령 상태
w | 파일 저장 |
q | vi 종료 (저장되지 않음) |
q! | (강제) 종료 |
wq | 저장 후 종료 |
f [파일이름] | f test.txt => test.txt파일이름으로 변경 |
set nu | vi 라인번호 출력 |
set nonu | vi 라인번호 출력 취소 |
★☆☆☆☆
반응형
'개발 > 기본) 기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기)c#) Async / Await 사용법 (0) | 2021.04.14 |
---|---|
기본기)c#) 무시 항목 (1) | 2021.04.14 |
기본기) Seed Random 구현 방식(고정랜덤) (0) | 2021.03.08 |
기본기)c#) is 연산자, as 연산자 (0) | 2021.03.05 |
기본기)빌보드 기법(Bill-Board) (2) | 2021.02.15 |
댓글